공기청정기 성능 및 인증마크에 대한 완벽한 가이드
공기청정기 성능은 업체에서 제공한 정보만으로는 체감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관, 협회에서 인증한 공기청정기 성능 표시로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만약 공기청정기 성능이 궁금하면, 무슨 인증마크가 붙었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주요 인증마크 종류 및 주요 내용
인증명 | 발급기관 | 주요내용 |
---|---|---|
KC인증 | 한국산업표준 | 전자제품 관련 안전/보건/품질 기준 + 오존 발생 여부 오존 발생량 허용 기준 : 0.05ppm 이하 |
CA인증 | 한국 공기청정 협회 | 미세먼지, 가스 제거, 오존 발생, 소음량 기준
|
BAF 인증 | 영국 알러지 협회 | 알레르기 물질 및 세균 제거 기준 |
ECARF 인증 | 유럽 알러지 연구재단 |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차단하는 제품
|
CADR | 미국 가전 제조사 협회 (AHAM) | 청정 공기 공급률
|
Energy Star | 미국 환경 보호국 (EPA), 미국 에너지부 (DOE) | 에너지 절약, 소비자 제품을 장려하는 미국 정부의 국제 프로그램
|
PA 인증 | 한국오존자외선협회 | 미세먼지와 부유세균 및 바이러스 유해가스 제거
|
KAF 인증 | 한국 천식 알레르기 협회 | 호흡기 및 피부 질환 예방 효과 인증 |
KAA 아토피 인증 | 대한 아토피 협회 | 아토피에 안전 제품 인증 |
KC 인증의 중요성
KC인증을 제외한 인증마크는 의무가 아닙니다.
따라서 인증마크는 참고자료로, 내가 필요한 성능을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기청정기 KC인증은 국내의 공기청정기의 전기전자 제품으로써 안전과 적합한 오존 발생량을 인증하는 표시입니다.
KC마크가 있는 공기청정기는 전기전자 제품으로 사용해도 문제 없으며, 오존이 유해할 정도로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CA 인증의 가치
CA(Clean Air)인증은 한국공기청정협회에서 공기청정기 성능을 평가해 발급한 인증마크입니다. 미세먼지와 유해가스 제거량, 오존 발생량과 같이 보이지 않는 중요한 성능을 검사하기 때문에 많은 국내 업체와 제품이 CA인증을 받습니다.
CA인증이 없더라도 표준사용면적이 제조사 스펙과 차이가 없으면 성능 차이도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표준사용면적은 에너지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며, 제조사 스펙과 차이가 없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공기청정기 성능 확인을 위한 팁
- 공기청정기에는 여러 인증마크가 있지만 대부분 의무가 아니기 때문에 제품 결정 기준 보다는 성능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특히 CA인증은 국내에서 필요한 미세먼지와 유해가스 제거 능력, 오존 발생량이 적은 제품을 검증하기 때문에 공기청정기 선택 시 참고할 만합니다.
아정당은 365일 밤 10시까지 상담OK 1833-3504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1: CA인증 없는 제품은 사용하면 안 되나요?
A1: 꼭 그렇지 않습니다. CA인증이 없어도 표준사용면적이 제조사 스펙과 차이가 없다면 성능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표준사용면적을 에너지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Q2: KC인증만 있으면 안전한가요?
A2: 네, KC인증은 기본적인 안전성과 오존 발생량을 검증한 인증입니다. 그러므로 전기전자적으로 안전하고, 오존 발생량이 인체에 해롭지 않은 것을 의미합니다.
Q3: 여러 인증마크가 있는 제품이 더 좋은가요?
A3: 꼭 그렇지 않습니다. 다양한 인증을 받았다고 해서 성능이 뛰어나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인증마크는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내가 필요로 하는 성능을 직접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기청정기 성능 및 인증마크에 대한 완벽한 가이드
공기청정기 성능 및 인증마크에 대한 완벽한 가이드
공기청정기 성능 및 인증마크에 대한 완벽한 가이드